맨위로가기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는 폴란드 출신의 영화 감독으로, 1941년 바르샤바에서 태어나 1996년 사망했다. 그는 다큐멘터리 영화로 경력을 시작하여, 1970년대부터 극영화 연출을 시작했다. 대표작으로는 《십계》,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세 가지 색》 삼부작 등이 있으며, 칸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 베를린 영화제 등에서 수많은 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작품은 도덕적, 형이상학적 주제를 다루며, 리얼리즘과 형이상학의 조화를 이룬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영화 각본가 - 야드비가 바란스카
    야드비가 바란스카는 폴란드의 배우이자 각본가로, 《밤과 낮》으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쇼팽: 사랑의 갈망》에서 1인 2역을 소화하는 등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했다.
  • 폴란드의 영화 각본가 - 예지 스투흐르
    예르지 스투흐르는 폴란드의 대표적인 배우이자 영화 감독, 각본가, 성우로, 크시슈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 등과 작업하며 이름을 알렸고, 영화 《섹스미션》, 《쓰리 컬러: 화이트》 출연, 《슈렉》 폴란드어 더빙판에서 당나귀 목소리 연기 등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다수의 영화를 감독하고 각본을 쓰는 등 다재다능한 활동을 펼쳤다.
  • 폴란드의 영화 감독 - 예지 스투흐르
    예르지 스투흐르는 폴란드의 대표적인 배우이자 영화 감독, 각본가, 성우로, 크시슈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 등과 작업하며 이름을 알렸고, 영화 《섹스미션》, 《쓰리 컬러: 화이트》 출연, 《슈렉》 폴란드어 더빙판에서 당나귀 목소리 연기 등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다수의 영화를 감독하고 각본을 쓰는 등 다재다능한 활동을 펼쳤다.
  • 폴란드의 영화 감독 - 아그니에슈카 홀란트
    아그니에슈카 홀란트는 폴란드의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로, 정치적 억압, 사회적 불평등, 인간의 도덕적 딜레마 등 사회 문제를 영화 주제로 다루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홀로코스트, 우크라이나 대기근 등 역사적 비극을 조명했으며, 미국 TV 시리즈 에피소드 연출과 다수의 영화제 수상, 사회 비판적 메시지로 폴란드 정부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감독상 수상자 - 구로사와 아키라
    구로사와 아키라는 권위 있는 미술상 수상 경력과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참여 이력을 가진 일본의 영화 감독으로, 다양한 장르의 걸작들을 통해 세계 영화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특한 시각적 연출과 휴머니즘, 유머가 돋보이는 작품들로 많은 감독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감독상 수상자 - 마리오 모니첼리
    마리오 모니첼리는 100편 이상의 각본과 60편 이상의 영화를 감독하며 이탈리아식 코미디 장르를 개척하는 데 기여한 이탈리아 거장 영화감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사회 풍자와 해학을 곁들인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4년의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1994년의 키에슬로프스키
이름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출생일1941년 6월 27일
출생지바르샤바, 독일 점령 폴란드
사망일1996년 3월 13일 (향년 54세)
사망지바르샤바, 폴란드
배우자(번역 필요)
자녀1명
모교우치 영화 학교
직업영화 감독, 각본가
활동 기간1966년 - 1994년
주요 작품
수상
칸 영화제심사위원상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에큐메니칼 심사위원상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황금사자상
1993년 세 가지 색: 블루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

국제 카톨릭 영화 사무국상
1993년 세 가지 색: 블루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감독상)
1994년 세 가지 색: 화이트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1994년 세 가지 색: 레드
전미국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1994년 세 가지 색: 레드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1994년 세 가지 색: 레드
고야상유럽 영화상
1993년 세 가지 색: 블루
기타 수상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1994년 세 가지 색: 레드

2. 생애

키에슬로프스키는 1941년 6월 27일 바르샤바에서 태어나, 엔지니어였던 아버지의 직업 때문에 어린 시절 여러 작은 도시들을 전전했다. 16세에 소방관 양성 학교에 다녔지만 3개월 만에 자퇴했고, 1957년 바르샤바의 연극 전문 학교에 입학하여 무대 연출가를 지망했다. 이후 영화 감독으로 진로를 바꿔 우치 영화 학교에 입학했다.

1966년단편 영화를 제작한 후, 1980년까지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21편의 단편 영화를 만들었다. 1976년에는 첫 장편 극영화 《상처》를 발표했고, 1979년에는 《아마추어》로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금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은 크시슈토프 자누시의 《보호색》(1977년) 등과 함께 당시 폴란드 영화계에서 "도덕적 불안의 영화"로 꼽힌다. 1981년에 제작한 《우연》은 검열로 인해 1987년에야 공개되었다.

1989년부터 1990년까지 성경십계명을 모티브로 한 10부작 텔레비전 드라마십계》를 제작하여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을 받고 스탠리 큐브릭의 극찬을 받았다. 《십계》의 5화와 6화를 극장용으로 재편집한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과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1988년)도 각각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과 산세바스티안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을 받았다.

1991년에는 프랑스폴란드를 배경으로 두 명의 베로니카의 운명을 그린 《두 번의 베로니카》를 발표하여 칸 영화제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을 받았다. 1993년부터는 프랑스 국기의 세 가지 색이 상징하는 자유, 평등, 박애를 주제로 한 《세 가지 색》 3부작을 제작했다. 첫 작품 《세 가지 색: 블루》(1993년)는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두 번째 작품 《세 가지 색: 화이트》(1994년)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 (감독상)을 받았다. 마지막 작품 《세 가지 색: 레드》(1994년)는 칸 영화제에 출품되었으나 수상에는 실패했다.

세 가지 색: 레드》를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다가 1995년에 복귀하여 단테의 《신곡》을 바탕으로 한 "천국·지옥·연옥" 3부작의 각본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96년 3월 13일 심장 마비로 사망하면서 3부작은 미완성으로 남았다. 완성된 각본 중 『천국편』은 2002년 톰 티크베어 감독에 의해 《헤븐》으로, 『지옥편』은 2005년 다니스 타노비치 감독에 의해 《지옥》으로 영화화되었다.

키에슬로프스키는 1967년 마리아 카우틸로와 결혼하여 딸 마르타를 두었으며, 사망할 때까지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 그는 자신을 비관주의자이자 불가지론자로 묘사했으며, 우울증을 겪기도 했다. 어려운 시기에는 구약 성서와 십계명을 도덕적 지침으로 삼았다고 한다.[21]

키에슬로프스키가 자란 집 사진
키에슬로프스키가 살았던 Sokołowsko의 23 Główna 거리의 집

2. 1. 유년 시절

1941년 6월 27일 바르샤바에서 바르바라와 로만 키에슬로프스키의 아들로 태어났다.[5] 엔지니어였던 아버지의 결핵 치료를 위해 여러 작은 마을을 전전하며 유년 시절을 보냈다.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로 자랐으며, 신과의 "개인적이고 사적인" 관계를 유지했다고 한다.[6]

16세 때, 소방관 훈련 학교에 다녔지만 3개월 만에 중퇴했다. 1957년 친척이 운영하는 바르샤바의 극장 기술 전문학교에 입학하여 무대 연출가를 지망하였으나, 영화 감독으로 진로를 바꾸어 우치 국립 영화 학교에 지원했다. 두 번의 불합격 후, 군 입대를 피하기 위해 미술학도로 가장하거나 스스로를 굶기도 했다. 1964년에 마침내 우치 국립 영화 학교에 입학했다.[34]

2. 2. 초기 다큐멘터리

키에슬로프스키는 우치 국립 영화 학교 재학 시절부터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7] 1966년단편 영화를 제작한 이후 1980년까지 21편의 단편 영화를 제작했다. 이 시기 그의 작품들은 주로 노동자, 도시 거주민 등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조명했다.[8]

1971년 작품 《일꾼들 '71》은 1970년 폴란드에서 일어난 대규모 파업을 다루면서 검열 당국의 탄압을 받았다.[8] 이 사건은 키에슬로프스키가 다큐멘터리 장르의 한계를 느끼고 극영화로 전향하는 계기가 되었다.[9][10]

1972년 키에슬로프스키


초기 다큐멘터리 영화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비고
1966우르자드
1966트람바
1967콘체르트 지첸
1968즈 미아스타 워지다큐멘터리
1968즈지에체텔레비전 다큐멘터리
1971파브리카다큐멘터리
1971뱜 졸니에르젬다큐멘터리
1971프셰트 라이다다큐멘터리
1972레프렌다큐멘터리
1972포다스타비 BHP 프 코팔니 미에지다큐멘터리
1972미엔지 브로츠와비엠 아 젤로나 구라다큐멘터리
1973벽돌공 (무라시)다큐멘터리
1974지하도 (프셰이시체 포지엠네)텔레비전 영화
1974프셰스비에틀레니에텔레비전 다큐멘터리
1975한 당원의 이력서 (지치오리스)
1976클랍스다큐멘터리
1977슈피탈다큐멘터리
1979즈 푼크투 비제니아 노츠네고 포르티에라다큐멘터리
1979여러 연령대의 일곱 여자 (시에뎀 코비에트 프 루즈니엠 비에쿠)다큐멘터리
1980가다야체 고워비다큐멘터리
1980드보르제츠다큐멘터리


2. 3. 폴란드에서의 활동

키에슬로프스키는 1975년 TV 영화 《직원》으로 극영화 감독 데뷔를 하였으며, 이 작품으로 만하임 영화제 대상을 수상했다.[11] 이듬해 발표한 《상처》(1976)는 그의 첫 극장용 장편 영화로, 한 공장의 경영 문제를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이 시기 그의 영화들은 극영화임에도 다큐멘터리 스타일을 차용하여 리얼리즘적인 면모가 강조되었다. 1979년 《카메라 버프》로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대상을 수상했으며,[11] 1981년 《블라인드 챈스》를 통해 사회 전체의 문제에서 개인이 맞닥뜨리는 윤리적 문제로 초점을 옮겨갔다.

1980년대 초, 그의 작품들에 대한 탄압이 거세졌다. 《블라인드 챈스》는 폴란드에서 1987년까지 개봉되지 못했으며, 많은 영화들이 검열, 재촬영 및 재편집을 거쳐야 했다. 《정거장》(1981)이 한 범죄 사건의 증거로 거론된 것을 알게 된 후, 극영화가 삶을 더욱 진실하게 담아낼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다큐멘터리 장르에서 손을 떼기 시작했다.

노 엔드》(1984)는 군사 법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죽은 변호사와 그의 미망인의 관점에서 그린, 그의 작품 중 가장 정치적 색깔이 강한 영화였다. 이 작품을 계기로 변호사 크쥐시토프 피에시에비치와 음향감독 즈비그니에프 프레이스네르를 만나 이후 작품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7] 피에시에비치는 이후 모든 영화의 시나리오를 공동 저술했으며,[7] 프레이스네르는 거의 모든 영화를 위해 필름 스코어를 만들었다. 프레이스네르의 음악은 영화 속에서 가상의 작곡가 반 덴 부덴마이어의 것으로 지칭된다.[13]

1988년 TV 시리즈물 《십계》 연작은 십계명에 기초를 둔 1시간짜리 단편 10개로 구성된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이 시리즈는 서독의 지원을 받아 완성되었는데, 폴란드에서 자금원을 구하는 데 난항을 겪고 있던 키에슬로프스키는 이후 서유럽 국가, 특히 프랑스에서 재정적 도움을 많이 받게 된다. 이듬해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첫 선을 보인 《십계》는 현대 영화계의 대작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다.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에피소드는 각각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과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이라는 영화로 제작되었다.

2. 4. 후기 작품

1990년대부터 키에슬로프스키는 프랑스 등 서유럽 국가들의 지원을 받아 국제적인 공동 제작 방식으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1991년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은 칸 영화제에서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을 수상하며 상업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었다.[15] 이 영화의 상업적 성공으로 키에슬로프스키는 1993년부터 1994년까지 프랑스 혁명 정신을 상징하는 세 가지 색(파랑, 하양, 빨강)을 주제로 한 《세 가지 색》 3부작을 발표하여 세계적인 거장 반열에 올랐다. 《세 가지 색: 블루》는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였고,[16]세 가지 색: 화이트》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감독상)을 수상했으며,[35][16]세 가지 색: 레드》는 아카데미 감독상과 각본상 후보에 올랐다.[16]

세 가지 색: 레드》를 마지막으로 은퇴를 선언했으나, 단테의 〈신곡〉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삼부작(《천국》, 《지옥》, 《연옥》)을 구상하던 중 1996년 3월 13일 심장 마비로 인한 개심술 후유증으로 사망했다.[22] 그의 유해는 바르샤바의 포본즈키 묘지에 안장되었으며,[23] 묘지에는 영화 카메라를 통해 보는 듯한 손 모양의 조각상이 세워져 있다.[23]

키에슬로프스키의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부문작품결과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1979년금상《아마추어》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베를린 국제 영화제1980년인터필름상《아마추어》
1994년감독상세 가지 색: 화이트
시카고 국제 영화제1980년골드 휴고상《아마추어》
칸 영화제1988년심사위원상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1991년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유럽 영화상1988년작품상《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1994년작품상세 가지 색: 블루
세 가지 색: 화이트
세 가지 색: 레드
2002년각본상《헤븐》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1989년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십계》
1993년황금사자상《세 가지 색: 블루》
프랑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1989년외국어 영화상《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1990년외국어 영화상《십계》
1991년외국어 영화상《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1994년작품상《세 가지 색: 빨강》
영국 영화 협회1990년BFI 펠로우십 상-
보딜상1990년비미국 영화상《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1991년비미국 영화상《십계》
1995년비미국 영화상《세 가지 색: 빨강》
바르샤바 국제 영화제1991년관객상《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골든 글로브상1991년외국어 영화상《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1993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파랑》
1994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빨강》
전미 비평가 협회상1991년외국어 영화상《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1993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파랑》
1994년작품상《세 가지 색: 빨강》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 영화상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1993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파랑》
1994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빨강》
고야상1993년유럽 영화상《세 가지 색: 파랑》
아카데미상1994년감독상《세 가지 색: 빨강》
각본상
영국 아카데미상1994년감독상《세 가지 색: 빨강》
각색상
비영어 작품상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1994년감독상《세 가지 색: 빨강》
외국어 영화상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1994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빨강》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1994년감독상《세 가지 색: 빨강》
외국어 영화상
1996년외국어 영화상《십계》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1994년외국 영화상《세 가지 색: 빨강》
세자르상1994년작품상《세 가지 색: 파랑》
감독상
각본상
1995년작품상《세 가지 색: 빨강》
감독상
각본상
전미 비평 위원회2000년특별상《십계》


3. 작품 세계의 특징

키에슬로프스키는 자신의 영화에서 다음과 같은 배우들을 주로 기용했다.

배우주요 출연작
아르투르 바르치시끝, 데칼로그,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
알렉산데르 바르디니끝, 데칼로그, 베로니카의 이중생활, 세 가지 색: 하양
타데우시 브라데츠키카메라 버프, 끝
이렌느 야곱베로니카의 이중생활, 세 가지 색: 빨강
보구스 라인다우연의 연속, 데칼로그
마리아 파쿨니스끝, 데칼로그
예지 슈투르상처, 카메라 버프, 우연의 연속, 데칼로그, 세 가지 색: 하양
그라지나 샤포워프스카끝, 데칼로그,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즈비그니에프 자마호프스키데칼로그, 세 가지 색: 하양
야누시 가요스데칼로그, 세 가지 색: 하양


3. 1. 도덕적 불안의 영화

키에슬로프스키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폴란드 영화계에서 나타난 '도덕적 불안의 영화' 경향을 대표하는 감독 중 한 명이다. 이 시기 폴란드 영화감독들은 공산주의 체제하에서 억압받는 개인의 윤리적, 실존적 고민을 다루는 작품들을 주로 발표했다.

그가 다큐멘터리가 아닌 영화로 처음 감독한 작품은 TV 영화 《직원》(1975)이었고, 이듬해 발표된 《상처》는 최초의 극장용 장편 영화였다. 1979년에 발표된 《카메라 버프》로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대상을 수상했으며, 1981년에는 《블라인드 챈스》를 통해 개인의 윤리적 문제로 초점을 옮겨갔다.

3. 2. 리얼리즘과 형이상학의 조화

초기 작품인 《직원》(1975), 《상처》(1976) 등에서는 다큐멘터리 스타일을 차용하여 사회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리얼리즘 경향이 강했다. 《카메라 버프》(1979)로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대상을 수상한 그는, 《블라인드 챈스》(1981)를 통해 사회 문제에서 개인의 윤리적 문제로 초점을 옮겨갔다.[6]

1980년대 초, 그의 작품들은 검열과 재편집 등 탄압을 받았고, 《정거장》(1981)이 범죄 사건의 증거로 언급되면서 다큐멘터리 장르에서 손을 떼기 시작한다. 《노 엔드》(1984)는 군사 법정을 배경으로 죽은 변호사와 미망인의 관점을 통해 정치적 색채를 드러냈다. 이 작품을 통해 크쥐시토프 피에시에비치와 즈비그니에프 프레이스네르를 만나 공동으로 시나리오를 쓰고, 필름 스코어를 제작하는 등 협업을 시작했다.[6]

이후 십계명에 기초한 10편의 단편으로 구성된 TV 시리즈 《십계》(1988) 연작을 통해 개인의 내면세계와 운명, 우연 등 형이상학적인 주제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이 시리즈는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되어 호평을 받았으며, 그중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에피소드는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으로 제작되었다.[6]

3. 3. 우연과 운명

키에슬로프스키의 작품은 우연한 사건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운명적인 만남과 이별 등을 자주 다룬다. 특히 《블라인드 챈스》,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세 가지 색 삼부작》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진다.

1981년 작 《블라인드 챈스》는 사회 전체의 문제에서 개인이 겪는 윤리적 문제로 초점을 옮겨가는 작품이다.[35]베로니카의 이중 생활》은 그의 영화 중 처음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 《세 가지 색 삼부작》은 프랑스 국기의 색깔이 상징하는 바를 주제로 다루며, 상업적 성공뿐 아니라 《블루》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 《화이트》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감독상, 《레드》로 아카데미상 감독상과 작가상 후보에 올랐다.[35]

3. 4. 음악의 활용

즈비그니에프 프레이스네르는 키에슬로프스키의 영화에서 음악을 담당했으며, 그의 음악은 영화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5] 프레이스네르의 음악은 영화 속에서 가상의 작곡가 반 덴 부덴마이어의 작품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특히 《세 가지 색 삼부작》에서 프레이스네르의 음악은 영화의 주제 의식을 강조하고,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는 데 기여했다.

4. 사후 평가 및 영향

키에슬로프스키는 70-80년대 "도덕적 불안의 영화"라고 불리던 새로운 폴란드 영화 세대를 대표하는 감독 중 한 명으로,[36] 안제이 바이다, 아그니에슈카 홀란트 등과 함께 공산주의 정권 치하 폴란드 삶을 그리는 데 주력했다. 초기 작품에서 두드러지던 리얼리즘과 아마추어 배우 기용은 후기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과 <세 가지 색> 연작에서 완숙해지며, 사회 문제에서 벗어나 우연 앞에서 나약한 개인들의 윤리적 선택을 묘사하는 전환점을 보였다. 스탠리 큐브릭은 <십계> 시나리오집 서문에서 "훌륭한 능력을 가진 감독"이라 칭송했고,[37] 하비 웨인스타인은 프리미어 지 추도문에서 "세계 최고의 감독 중 하나"라고 칭송했다.[38]

그는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감독 중 한 명으로 남아 있으며, 그의 작품은 전 세계 대학교 영화 수업에서 연구 자료로 사용된다. 특히, 민주화 이후 표현의 자유가 확대된 한국 사회에서 키에슬로프스키의 작품은 더욱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한국 영화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93년 출간된 책 ''키에슬로프스키, 키에슬로프스키를 말하다''(Kieślowski on Kieślowski)는 다누시아 스톡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그의 삶과 작품을 그의 말로 묘사하고 있다. 그는 또한 크시슈토프 비에르즈비츠키가 감독한 전기 영화인 ''크시슈토프 키에슬로프스키: 나는 그저 그래''(Krzysztof Kieślowski: I'm So-So)(1995)의 주제이기도 하다.

키에슬로프스키가 미완으로 남겨둔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서 영감을 얻은 두 번째 삼부작 《천국》, 《지옥》, 《연옥》 시나리오는 사후 다른 감독들에 의해 영화화되었다. 유일하게 완성된 시나리오였던 《천국》은 톰 티크베어가 영화화하여 2002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초연되었고,[17][18] 《지옥》은 다니스 타노비치에 의해 《헬(2005)》로 완성되었다.[19] 보스니아 전쟁에서 사망한 사진작가를 다룬 《연옥》은 아직 제작되지 않았다.[25]

폴란드 퀠체에 있는 키에슬로프스키의 흉상


2012년, 사이러스 프리슈는 ''살인에 관한 짧은 영화''를 "가장 훌륭한 영화" 중 하나로 선정하며 "폴란드에서 이 영화는 사형 폐지에 기여했습니다."라고 언급했다.[29]

2011년부터 폴란드 현대 미술 재단 In Situ는 키에슬로프스키가 청소년기를 보낸 소코워프스코에서 소코워프스코 영화제: 키에슬로프스키 오마주를 개최해 왔다. 이는 그의 영화 상영뿐만 아니라 폴란드와 유럽의 젊은 영화 제작자들의 영화 상영, 창작 워크숍, 패널 토론, 공연, 전시회 및 콘서트가 함께 진행되어 감독의 작품을 기념하는 연례 영화제이다.[31]

2021년 6월 27일, 구글은 그의 80번째 생일을 구글 두들로 기념했다.[32]

연도부문작품결과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1979년금상《아마추어》rowspan="2"|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베를린 국제 영화제1980년인터필름상《아마추어》
1994년감독상《세 가지 색: 하얀색》
시카고 국제 영화제1980년골드 휴고상《아마추어》
칸 영화제1988년심사위원상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rowspan="2"|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1991년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베로니카의 이중 생활rowspan="2"|
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
유럽 영화상1988년작품상《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1994년작품상《세 가지 색: 파랑》
《세 가지 색: 하얀색》
《세 가지 색: 빨강》
2002년각본상《헤븐》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1989년국제 영화 비평가 연맹상《십계》
1993년황금사자상《세 가지 색: 파랑》
프랑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1989년외국어 영화상《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1990년외국어 영화상《십계》
1991년외국어 영화상《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1994년작품상《세 가지 색: 빨강》
영국 영화 협회1990년BFI 펠로우십 상-
보딜상1990년비미국 영화상《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1991년비미국 영화상《십계》
1995년비미국 영화상《세 가지 색: 빨강》
바르샤바 국제 영화제1991년관객상《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골든 글로브상1991년외국어 영화상《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1993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파랑》
1994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빨강》
전미 비평가 협회상1991년외국어 영화상《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1993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파랑》
1994년작품상《세 가지 색: 빨강》rowspan="4"|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 영화상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1993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파랑》
1994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빨강》
고야상1993년유럽 영화상《세 가지 색: 파랑》
아카데미상1994년감독상《세 가지 색: 빨강》rowspan="2"|
각본상
영국 아카데미상1994년감독상《세 가지 색: 빨강》rowspan="3"|
각색상
비영어 작품상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1994년감독상《세 가지 색: 빨강》rowspan="2"|
외국어 영화상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1994년외국어 영화상《세 가지 색: 빨강》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1994년감독상《세 가지 색: 빨강》rowspan="2"|
외국어 영화상
1996년외국어 영화상《십계》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1994년외국 영화상《세 가지 색: 빨강》
세자르상1994년작품상《세 가지 색: 파랑》rowspan="3"|
감독상
각본상
1995년작품상《세 가지 색: 빨강》rowspan="3"|
감독상
각본상
전미 비평 위원회2000년특별상《십계》


5. 작품 목록

키에슬로프스키는 장편 영화 11편, 다큐멘터리 19편, TV 영화 12편, 단편 영화 6편을 포함하여 총 48편의 영화를 쓰고 연출했다.[35]

제목연도비고
로봇니치 1971 - 니치 오 나스 베스 나스1971년다큐멘터리
첫사랑 피에르브샤 밀로시치1974년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스태프 페르소넬1976년텔레비전 영화
흉터 블리즈나1976년
니에 윔1977년다큐멘터리
아마추어 아마토르1979년
카르토테카1979년텔레비전 영화
평온 스포쿠이1980년텔레비전 영화
짧은 노동의 날 크루트키 지엔 프라시1981년텔레비전 영화
우연 프시파데크1987년1981년 제작
끝없음 베즈 꼰차1985년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 크루트키 필름 오 자비야뉴1988년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크루트키 필름 오 미로시치1988년
십계 데칼로그1989년-1990년
두 베로니카 라 더블 비 드 베로니크1991년
세 가지 색: 블루 트루아 쿠르: 블루1993년
세 가지 색: 화이트 트루아 쿠르: 블랑1994년
세 가지 색: 레드 트루아 쿠르: 루즈1994년


5. 1. 다큐멘터리

키에슬로프스키는 폴란드 정부가 표현의 자유를 허용하던 시기에 대학을 다녔다. 1968년에 학교를 졸업한 후 연극에 대한 흥미를 잃고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은 정치적 색깔을 드러내기보다는 우치 주민들의 어둡고 절망적인 삶을 그려냈다. 초기 작품들은 주로 TV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일꾼들 '71>(1971)과 <이력서>(1975) 등이 있다. 특히 1970년 폴란드에서 일어난 대규모 파업을 다룬 <일꾼들 '71>은 검열을 받았고, 키에슬로프스키는 이 경험을 통해 폴란드 정권 아래서 진실을 말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의 다큐멘터리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연도비고
사무실1966
전차1966
요청의 콘서트1967
사진1968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우치 시에서1968다큐멘터리
나는 군인이었다1970다큐멘터리
공장1971다큐멘터리
노동자 '71: 우리 없는 우리에 관하여는 없다1971다큐멘터리
집회 전1971다큐멘터리
브로츠와프와 질로나 구라 사이1972다큐멘터리
구리 광산의 안전 및 위생 원칙1972다큐멘터리
Gospodarze1972
후렴1972다큐멘터리
벽돌공1973다큐멘터리
첫사랑1974
엑스레이1974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지하 보도1974텔레비전 영화
이력서1975
병원1976다큐멘터리
슬레이트1976다큐멘터리
야간 관리인의 시점1977다큐멘터리
나는 모른다1977
다양한 연령대의 일곱 여성1978다큐멘터리
기차역1980다큐멘터리
말하는 머리1980다큐멘터리
주 7일1988


5. 2. 극영화

키에슬로프스키가 다큐멘터리가 아닌 영화로 처음 감독한 작품은 TV 영화로 제작된 《직원》(1975)이다. 이 작품은 무대 기술자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그린 것으로, 만하임 영화제 대상을 수상했다.[35] 이듬해 발표된 《상처》는 그의 최초의 극장용 장편 영화였는데, 한 공장의 경영 문제를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이 시기 영화들은 극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다큐멘터리 스타일을 차용해 리얼리즘적인 면모가 강조되었다. 1979년 《카메라 버프》로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대상을 수상했고,[35] 1981년 《블라인드 챈스》를 통해 사회 전체의 문제에서 개인이 맞닥뜨리는 윤리적 문제로 초점을 옮겼다.

80년대 초, 그의 작품들에 대한 탄압은 더욱 거세졌다. 《블라인드 챈스》는 폴란드에서 1987년까지 개봉되지 못했으며, 많은 영화들이 검열을 당했다.[35] 《노 엔드》(1984)는 군사 법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죽은 변호사와 그의 미망인의 관점에서 그린, 정치적 색깔이 강한 작품이다. 이 작품을 만들며 크쥐시토프 피에시에비치와 즈비그니에프 프레이스네르를 만났는데, 이들은 이후 키에슬로프스키 작품에서 큰 역할을 한다.[35] 피에시에비치는 이후 모든 영화의 시나리오를 공동 저술했고, 프레이즈너는 거의 모든 영화를 위해 필름 스코어를 만들었다 (프레이스네르의 음악은 영화 속에서 가상의 작곡가 반 덴 부덴마이어의 것으로 지칭된다).[35]

1988년 TV 시리즈물 《십계》는 십계명에 기초를 둔 1시간짜리 단편 10개로 구성된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이 시리즈물은 서독의 지원을 받아 완성되었는데, 폴란드에서 자금원을 구하기 어려웠던 키에슬로프스키는 이후 서유럽 국가, 특히 프랑스에서 재정적 도움을 많이 받았다.[35]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첫 선을 보인 《십계》는 현대 영화계의 대작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다.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에피소드는 각각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과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으로 따로 제작되었다.[35]

마지막 4편의 영화는 프랑스 등 외국의 후원으로 제작되었는데, 그 중 첫 번째인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은 처음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안정적인 후원금을 확보한 그는 최후의 작품인 <세 가지 색> 3부작을 완성했다. <블루>, <화이트>, <레드>는 프랑스 국기의 색깔들이 상징하는 바를 주제로 다루었다.[35] 이 영화들로 키에실로브스키는 상업적 성공은 물론 <블루>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 <화이트>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감독상,[35] <레드>로 아카데미상 감독상과 작가상에 지명되었다. <레드> 발표와 함께 감독 은퇴를 선언한 그는, 피에시비츠와 단테의 《신곡》에서 영감을 받은 <천국>, <지옥>, <연옥> 3부작의 시나리오를 쓰다가 1996년 3월 13일 세상을 떠났다.[35]

그의 극영화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연도비고
《직원》 (Personel)1975TV 영화
《상처》 (Blizna)1976
침묵 (Spokój)1976
카드 인덱스 (Kartoteka)1979
카메라 버프》 (Amator)1979
짧은 노동일 (Krótki dzień pracy)1981
《우연의 기회》 (Przypadek)1981년 제작, 1987년 개봉
《끝》 (Bez końca)1985
《십계》 (미니시리즈)1988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 (Krótki film o zabijaniu)1988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Krótki film o miłości)1988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La Double vie de Veronique/Podwójne życie Weroniki)1991
세 가지 색: 블루》 (Trois couleurs: Bleu/Trzy kolory: Niebieski)1993
세 가지 색: 화이트》 (Trois couleurs: Blanc/Trzy kolory: Biały)1994
세 가지 색: 레드》 (Trois couleurs: Rouge/Trzy kolory: Czerwony)1994


6. 수상 내역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는 1974년 크라쿠프 영화제 황금 호비호스 상을 시작으로 그의 경력 동안 수많은 상과 후보 지명을 받았다. 다음은 그의 후기 작품에 대해 받은 상과 후보 지명 목록이다.[33]

작품연도결과
살인에 관한 짧은 영화유럽 영화상 최우수 작품상1988수상
칸 영화제 국제 영화 비평가상1988수상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1988수상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1988후보
프랑스 영화 평론가 협회 최우수 외국 영화상1990수상
보딜상 최우수 유럽 영화상1990수상
십계보딜상 최우수 유럽 영화상1991수상
베니스 영화제 어린이와 영화상1989수상
베니스 영화제 국제 영화 비평가상1989수상
베로니카의 이중 생활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외국 영화상 은콘도르상1992후보
칸 영화제 국제 영화 비평가상1991수상
칸 영화제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1991수상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1991후보
바르샤바 국제 영화제 관객상1991수상
세 가지 색: 블루세자르상 최우수 감독상1994후보
세자르상 최우수 작품상1994후보
세자르상 최우수 각본상 (오리지널 또는 각색)1994후보
베니스 영화제 골든 치악상1993수상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1993수상
베니스 영화제 OCIC상1993수상
세 가지 색: 화이트베를린 국제 영화제 최우수 감독상 은곰상1994수상
세 가지 색: 레드아카데미상 최우수 감독상1995후보
아카데미상 최우수 각본상1995후보
BAFTA 외국어 영화상1995후보
BAFTA 각색된 각본상1995후보
BAFTA 데이비드 린 감독상1995후보
보딜상 최우수 비미국 영화상1995수상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1994후보
밴쿠버 국제 영화제 가장 인기 있는 영화상1994수상


참조

[1] 문서 Stok 1993, p. xiii.
[2] 웹사이트 Krzysztof Kieślowski https://www.imdb.com[...] IMDb 2012-05-19
[3] 웹사이트 Sight & Sound | Modern Times http://old.bfi.org.u[...] BFI 2012-01-25
[4] 웹사이트 The Greatest Directors Ever by ''Total Film'' Magazine http://www.filmsite.[...] Filmsite.org 2009-04-19
[5] 뉴스 Mikrokosmos w naszym Davos - Dolnośląskie ślady Krzysztofa Kieślowskiego http://www.twoje-sud[...] 2005-12-03
[6] 뉴스 Krzysztof Kieślowski: I'm So-So... https://movies.nytim[...] 1998-08-05
[7] 웹사이트 Krzysztof Kieślowski: migratory filmmaker https://blog.europea[...] 2019-06
[8] 웹사이트 The Essentials: Krzysztof Kieslowski https://www.indiewir[...] 2013-03-13
[9] 웹사이트 Kieslowski, Krzysztof http://sensesofcinem[...] Sense of Cinema Inc. 2003-07
[10] 웹사이트 Workers '71 https://letterboxd.c[...] Alfred A. Knopf 2015-02-06
[11] 웹사이트 11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79) http://www.moscowfil[...] 2013-01-18
[12] 웹사이트 Under the Sign of Sadness: Zbigniew Preisner's Three Colors Scores https://www.criterio[...] 2023-02-22
[13] 뉴스 Kieślowski's Many Colours http://www.musicolog[...] 1995-06-02
[14] 서적 Krzysztof Kieslowski: Interviews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16
[15] 웹사이트 Political movies are hard to pull off. The films of Krzysztof Kieslowki hold the key. https://www.vox.com/[...] Vox Media Inc. 2016-09-27
[16] 웹사이트 Berlinale: 1994 Prize Winners http://www.berlinale[...] Berlinale 2011-12-30
[17] 뉴스 FILM; A Polish Master's Last Collaboration https://www.nytimes.[...] 2002-10-06
[18] 웹사이트 Heaven http://rogerebert.su[...] 2002-10-18
[19] 뉴스 Hell (L'Enfer) https://www.theguard[...] 2006-04-21
[20] 서적 Kieślowski. Ważne, żeby iść... Wydawnictwo Skorpion 2011
[21] 서적 Kieślowski. Zbliżenie Wydawnictwo Agora 2018
[22] 서적 Double Lives, Second Chances: The Cinema of Krzysztof Kieslowski https://books.google[...] Miamax 2002-05-15
[23] 문서 See [[:File:Kieslowski Powazki.jpg]]
[24] 간행물 In Memoriam – Krzysztof Kieślowski https://www.filmweb.[...] Premiere 1996-06
[25] 뉴스 Lanie Goodman meets director Danis Tanovic https://www.theguard[...] 2006-04-14
[26] 뉴스 Hope (Nadzieja) https://www.theguard[...] 2008-04-18
[27] 서적 Decalogue: The Ten Commandments Faber and Faber
[28] 웹사이트 Kubrick on Kieślowski http://www.visual-me[...] Visual Memory 2012-05-19
[29] 웹사이트 Analysis: The Greatest Films of All Time 2012, Cyrus Frisch https://web.archive.[...] 2017-06-06
[30] 웹사이트 The best-damned film list of them all http://www.rogereber[...] 2012-04-05
[31] 웹사이트 Hommage à Krzysztof Kieślowski Festival- About http://www.hommageak[...] 2017-06-06
[32] 웹사이트 Krzysztof Kieślowski's 80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21-06-27
[33] 웹사이트 Awards for Krzysztof Kieślowski https://www.imdb.com[...] IMDb 2012-05-19
[34] 웹사이트 Movie Review - Krzysztof Kieslowski: I'm So-So... - FILM REVIEW; The Art of Film, via Brat and Broode http://movies.nytime[...]
[35] 웹인용 "Berlinale: 1994 Prize Winners". ''berlinale.de''. http://www.berlinale[...] 2012-04-10
[36] 웹인용 "Krzysztof Kieslowki Biography". ''facets.org''. http://www.facets.or[...] 2012-04-10
[37] 문서 Stanley Kubrick, The Foreword to ''Decalogue: The Ten Commandments'', London: Faber & Faber, 1991. http://www.visual-me[...]
[38] 문서 Harvey Weinstein, In Memoriam - Krzysztof Kieslowki, ''Premiere'', June 1996. http://www.petey.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